지원하기

Energy Toward Sustainability

2024 두산에너빌리티

채용연계형
대규모 신입사원 채용

24. 5. 20(월) - 24. 6. 10(월) 18:00

시계 입사지원 마감일 까지
  • days
  • Hours
  • Minutes
  • Seconds
배경
그림
2024 두산에너빌리티 채용연계형 인턴 대규모 채용
  • 지원자격
    (공통)
    • 정규 4년제 대학교(이상) 졸업자 및 ‘24년 8월 또는 ‘25년 2월 졸업예정자 졸업 유예 또는 졸업 예정인 경우, 졸업 구분은 ‘졸업 예정'으로 입력
    • 인턴십 근무(8월) 및 11월 중 입사 가능자
    • 병역필 또는 면제자, 해외 근무 결격 사유 없는자
    • 어학 : 접수 마감일 기준 2년 내 취득한 공인영어성적 보유자 TOEIC Speaking: 인문 110점, 이공 90점 이상 OPIc: 인문 IM(Intermediate Mid), 이공 IL(Intermediate Low)등급 이상
  • 입사지원
    • 2024. 05. 20(월) ~ 2024. 06. 10(월) 18:00까지 (한국시간) 마감시간 이후에는 지원서 접수가 불가하오니 기간 내 지원을 완료해 주시기 바랍니다. 입사지원서 작성 시 DBS(Doosan Biodata Survey)를 반드시 응시하여야 합니다.
  • 접수방법
채용전형
채용프로세스

* 채용 일정 및 전형 절차는 회사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, 전형 결과는 커리어 두산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모집분야
      • 플랜트 엔지니어링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플랜트 Process 설계, 플랜트 기계설계, 플랜트 전기/제어 설계, 플랜트 토목/건축 설계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발전/Water 플랜트와 관련한 기계, 전기, 토목, 건축 설계 및 전체 플랜트의 Engineering Management(EM)와 성능 설계 업무를 수행합니다. 프로젝트 수주 전 견적/입찰 설계에서부터 수주 후 프로젝트 수행 설계, 그리고 플랜트 시공/시운전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지원 업무도 수행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기계 설계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플랜트 설계 전체를 Leading 하는 EM(Engineering Management)
            • 플랜트 최대 출력, 최고 효율을 위한 플랜트 성능 설계
            • 플랜트 운전 요구 조건을 만족하면서도 최적화된 Solution을 제공하는 공정 설계
            • 플랜트 핵심 기자재 설계 관리
          • 전기 설계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플랜트 전기 및 로직 설계
              • Software 활용한 System Study
              • Single Line Diagram, Electrical Logic Diagram, 전력설비 기기 선정
              • 설비 구매/제작 사양 선정
              • 플랜트 계측 및 제어 시스템 설계
          • 토목 설계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토질, 구조, 수리/수문, 해양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한 견적 및 수행 설계
            • 공사 완료 시까지 현장 지원 업무
          • 건축 설계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플랜트 내 건축물 및 구조물에 대한 견적 및 수행 설계
            • 공사 완료 시까지 현장 지원 업무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기계, 전기, 전자, 전력, 건축, 토목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기본적인 전공 지식
            • (Ex) 기계 분야: 열역학, 유체역학
              전기 분야: 회로이론, 전력공학
              토목 분야: 토질, 구조, 수리/수문 분야 전공지식
              건축 분야: 건축 및 건축구조 분야 전공지식 등
            • 계산서 및 설계 도서 작성을 위한 Drawing 역량 (2D/3D CAD 등)
            • 해외 발주처 및 협력 업체와 기술적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영어 활용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      • 서비스/복합 발전 엔지니어링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서비스/복합 발전 Process 설계, 서비스/복합 발전 기계설계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복합발전, 열병합발전, WtE(Waste to Energy) 등 다양한 발전플랜트와 관련한 기계, 배관 및 전체 플랜트의 Engineering Management(EM)와 성능 설계 업무를 담당합니다. 프로젝트 수주 전 견적/입찰 설계에서부터 수주 후 프로젝트 수행 설계, 그리고 플랜트 시공/시운전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지원 업무도 수행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기계 설계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플랜트 설계 전체를 Leading 하는 EM(Engineering Management)
            • 플랜트 최대 출력, 최고 효율을 위한 플랜트 성능 설계
            • 플랜트 운전 요구 조건을 만족하면서도 최적화된 Solution 을 제공하는 공정 설계
            • 플랜트 핵심 기자재 설계 관리
            • 플랜트 내 각종 배관 및 주기기 배관에 대한 설계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기계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기본적인 전공 지식
            • (Ex) 열역학, 동역학, 유체역학 등
          • 계산서 및 설계 도서 작성을 위한 Drawing 역량 (2D/3D CAD 등)
          • 해외 발주처 및 협력 업체와 기술적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영어 활용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창원
      • 원자력 기자재 설계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원자력 기자재 설계 (SMR, 원자로 구조물, 증기발생기, CASK 등)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국내외 대형원전 및 소형모듈원전(SMR)의 원자로, 증기발생기, 가압기, 구조물, 안전기기, 냉각재펌프, CASK 등 원자력 주요 기자재를 설계/해석/시험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.
          • 원자력 기자재 설계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대형원전 원자로, 증기발생기, 구조물, 냉각재펌프, 안전기기, CASK 및 소형모듈원전(SMR) 설계 관련, 기기/제작설계, 소재요건 수립, 기기설계개발
            • 신형 소형모듈원전(SMR), 대형 원자로, 연구용 원자로 등 원자력 기본 설계(설계/해석/시험)
            • 사용후핵연료 저장에 필요한 운반용기 및 저장용기 등 관련 운영장비의 설계
            • 원자력 발전소 보수/정비 공정 관리, 기술업무(용접 기술/가공/평가 등) 및 장비 개발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기계, 원자력, 소재, 금속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기본적인 전공 지식
            • (Ex)재료역학, 열전달, 파괴전달, 동역학, 유체역학 등
          • 도면해독 및 AutoCAD/3D Tool 기본 활용 능력
          • 해외 발주처 및 협력 업체와 기술적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영어 활용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창원
      • 원자력 계측제어(I&C)설계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원자력 계측제어시스템(MMIS*) HW/SW 설계 원자력 계측제어시스템(MMIS) 기기 검증 및 Testing
            * MMIS : Man-Machine Interface System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원자력발전소의 핵심설비인 계측제어(I&C, Instrument&Control) 완전구매품에 대한 설계와 MMIS(Man-Machine Interface System)에 대한 설계 및 시험/검증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원자력 계측제어(I&C) 설계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MMIS 관련 기술사양서 개발 및 전기/전자회로 설계, 현장설치 및 초기 운전을 위한 기술지원
            • MMIS 관련 기기 검증 및 각종 소프트웨어 설계
            • 원자력발전소용 전장 및 계장 기기 계약을 위한 설계 검토
            • MMIS 관련 소프트웨어 확인 및 검증 (Verfication & Validation)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전기, 전자, 전력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기본적인 전공 지식
            • (Ex) 전기/전자기기의 원리와 전기/전자회로에 대한 이해, 컴퓨터 언어에 대한 기초적 공학 지식
          • 국내외 기술기준 및 각종 규격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공학 기반 영어 활용 역량
          • 업무 관련 각종 Data 를 분석하고 담당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분석력 및 기획력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/동탄
      • 발전 기자재 설계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화력/복합화력 발전 기자재(가스터빈, 스팀터빈, 발전기 등) 설계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발전 플랜트의 핵심 설비인 가스터빈, 스팀터빈, 발전기 등에 대한 기자재 설계 업무를 담당합니다. 업무는 기본설계 및 상세설계 분야로 나누어지며, 발주처의 요청에 따른 최적의 제품 생산을 위한 설계업무를 수행합니다.
          • 가스터빈 설계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가스터빈 본체에 대한 구조설계 및 각종 Aux. System 에 대한 설계
            • 3D형상 설계, 구조해석, 제작도면 및 각종 설계 지침서 작성
            • GT구성품의 설계 및 조립/시험 평가 및 Site 설치 TA 등 대발주처 지원
          • 가스터빈 Test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다양한 가스터빈 및 수소터빈 등 시험평가를 위한 Instrument 설계 및 설치
            • 가스터빈 시험용 특수 장비 및 계측설비 운영
            • 시험데이터 계측 시스템 구성 및 동적 데이터 분석
          • 스팀터빈 설계 분야 주요업무
            • 복합/원자력 스팀터빈에 적용되는 고중압/저압 Casing 및 Main Valve 류 설계
            • 스팀터빈 주요 Component 와의 기술적 연계를 통한 최적 설계
            • 제작 및 설치 TA 등 대발주처 지원
          • 전기/제어분야 주요업무
            • 가스터빈 및 스팀터빈(복합/원자력/화력) 제어시스템 개발 및 현장 시운전
            • 발전기 여자시스템 설계 및 현장 시운전
            • 전력변환기 개발 및 구동 시험 등 전력변환 분야 전기/제어 설계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기계, 전기, 전자, 전력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기본적인 전공 지식
            • (Ex) 기기 설계 및 Test 분야 : 열역학, 동역학, 유체역학 등
              전기/제어 분야: 회로이론, 전자기학, 신호/시스템, 전기기기 등
          • 계산서 및 설계 도서 작성을 위한 Drawing 역량 (2D/3D CAD 등)
          • 해외 발주처 및 협력 업체와 기술적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영어 활용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창원
      • 플랜트 시공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플랜트 기계/전기/계장 시공계획 수립 및 시공 관리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국내/외 EPC 및 원자력 플랜트 건설 현장에서 공사 기간 내 책임 시공 및 준공,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플랜트 시공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국내/외 EPC 및 원자력 플랜트 공사 및 공정 관리
            • 국내/외 EPC 및 원자력 플랜트 공사 원가 관리
            • 국내/외 EPC 및 원자력 플랜트 시공 관련 대관/대발주처 업무 수행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기계, 전기, 전자, 전력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현장 시공/공무 업무 수행을 위한 전공지식 및 기초 회계지식
          • 일정, 예산, 인력,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역량
          • 발생 가능한 Risk를 사전 도출할 수 있는 분석력 및 문제해결능력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국내/외 현장*
      • 건축 시공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건축/주택/플랜트 현장 건축 시공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국내/외 EPC 및 원자력 플랜트, 그리고 일반 건축(주거시설, 상업시설 등) 건설 현장에서 공사 기간 내 책임 시공 및 준공,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건축 시공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국내/외 EPC 및 원자력 플랜트 건축 공사 관리
            • 국내 건축 현장 공정 및 원가 관리
            • 국내 건축 현장 시공 관련 대관/대발주처 업무 수행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건축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건축 시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공 기초 지식(구조, 설계, 공법 등)
          • 건축 도면 이해 능력 및 설계 Tool 활용 능력
          • 일정, 예산, 인력, 자원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능력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국내/외 현장*
      • 토목 시공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도로/교량/플랜트 현장 토목 시공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국내에서 수행하는 토목(도로, 교량, 항만 등) 건설 현장에서 공사 기간 내 책임 시공 및 준공,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합니다.
          • 토목 시공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국내 토목 현장 공사 관리
            • 국내 토목 현장 공정 및 원가 관리
            • 국내 토목 현장 시공 관련 대관/대발주처 업무 수행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토목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토목 구조물의 기본원리와 구조물 설계에 관한 지식 및 이해 능력
          • 건설재료 및 시공기술에 대한 지식 및 이해 능력
          • 건설관련 법규 및 규제에 대한 이해 능력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국내/외 현장*
      • 플랜트 시운전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플랜트 시운전 및 성능 검증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발전 플랜트의 각 설비에 대한 예비 점검, 기동, 시험 및 조정 작업 등, 단위기기 시운전을 수행하고, 각 설비가 전체 결합되어 종합 플랜트로서 계약요건을 만족하는 정상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운전 역할을 담당합니다.
          • 플랜트 시운전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단위기기(Motor, Pump, 계측기 등) 시운전
            • 증기 세정, 플랜트 설비별 운전상태 조정 등 종합 시운전
            • 시운전 Risk 관리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기계, 전기, 전자, 전력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설비별 Datasheet 및 운전 Data 를 비교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전공 지식
          • 발생 가능한 Risk 를 사전 도출할 수 있는 분석력 및 이를 관리해 나갈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
          • 정보 및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/설득할 수 있는 논리력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국내/외 현장*
      • 기자재 품질보증/관리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주단조 소재 및 발전 기자재 품질관리
          • 국내외 인증/자격 취득 및 품질관리 시스템 운영, 품질 감사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원자력/복합화력 발전을 포함해 여러 사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기자재의 제작 관련, 품질 보증 및 품질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기자재 품질보증/관리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제품 수주를 위한 설계 검토, 제작된 제품의 품질 확인을 위한 시험/검사
            • 원자력/복합화력 등 기자재(기계품, 외주관리품, I&C 등)에 대한 품질보증업무 수행 시운전
            • 주조 및 단조 소재 제품의 품질 관리를 위한 시험/검사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기계, 전기, 전자, 전력, 소재, 금속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발전기 및 I&C 분야 특성 파악을 위한 기본 전공 지식 및 기술적 이해력
          • 주조 및 단조 소재의 특성과 가공 조립의 특성 파악을 위한 관련 전공 지식
          • 제품의 품질을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는 분석 및 품질 개선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창원
      • 플랜트 품질보증/관리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플랜트/건설 EPC 현장 품질 관리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국내외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분야의 플랜트 기자재 제작 및 현장 설치 단계에서 종합적인 품질 관리를 수행합니다.
          • 플랜트 품질 관리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국내/외 업체 제작품에 대한 품질 검사
            • 기술 문서의 작성 검토- 발주처 등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품질 확보
            • 품질 관리 시스템 및 품질 관리 프로세스 개선 업무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전기, 전자, 전력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플랜트 설비의 구조/동작 기본 원리 이해 및 특성 파악을 위한 전공 지식 및 기술적 이해력
          • 발생 가능한 Risk를 사전 도출할 수 있는 분석력 및 이를 관리해 나갈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
          • 정보 및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/설득할 수 있는 논리력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국내/외 현장*
      • Smart Factory 개발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Smart Factory 기획/구축 및 제작공정 최적화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회사의 제품과 제작공정을 이해하고 생산 및 품질영역에서 자동화 및 시스템 기반의 업무 프로세스를 설계, Smart Factory 구축 및 운영을 담당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Smart Factory 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Smart Factory 기획/구축 및 운영
            • 공정 최적화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
            • 시스템 기반 업무 변화관리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산공, 컴퓨터, 전산, 소프트웨어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프로젝트 기반의 제작 프로세스를 이해/분석할 수는 있는 분석력
          • 최신 IT 트렌드 접목 및 시스템 구축 방법론에 대한 이해
          • 분석된 정보 및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/설득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창원
      • 원자력/주단 생산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원자력 발전 및 주단조 생산/가공 공정 설계 및 관리, 용접/제관 기술 및 공정 개발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원자력 발전을 비롯해 다양한 산업에 설치/활용되는 핵심 설비와 기기, 소재들을 제작/기획하고 개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원자력 생산기술, 공정관리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되는 주요 기기 제작 관련 기술의 기획/개발
            •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되는 기계제품 제작을 위한 용접공정기술과 특수용접장치 개발
            • 원자력 발전소의 핵심 기기 생산 공정 관리
            • 원자력 발전소 보수/정비 공정 관리, 기술업무 (용접기술/가공/평가 등) 및 장비 개발
          • 주단조품 생산 및 소재기술, 공정관리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주단조용 Ingot 및 주조품 생산 계획 수립, 품질 관리, 설비 관리, 기술 개발 및 Test
            • 단조품 생산 계획 수립, 품질 관리, 설비 관리 및 생산 공정 관리
            • 주단조품 가공 공정, 품질 및 설비관리
            • 발전 기자재 주요 주/단조품 소재 기술 개발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기계, 소재, 금속, 산공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기본적인 전공 지식
            • (Ex) 재료역학, 열전달, 파괴전달, 동역학, 유체역학 등
          • 금속 재료 및 제작 Process(용접,가공,기계공학) 관련 전공 지식 및 기술적 이해
          • 철강 소재의 기계적, 열적, 화학적 성질 및 제조에 대한 전공 지식
          • 주단조품 생산기술에 대한 이해와 이를 활용한 공정 설계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창원
      • 출하기술(도장)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생산 지원(도장)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발전 플랜트 기자재를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적합한 도료 및 도장시스템을 설계하고 관련된 업무를 담당합니다.
          • 출하기술(도장)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도장사양 기술문서 작성/관리
            • 견적 및 목표 예산가 관리
            • 국내/외 Site 및 Vendor 기술지원 및 Trouble Shooting
            • 품질 Techincal Communication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화공, 응용화학, 공업화학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부식/방식 관련 기본지식
          • 고분자(도료 등) 및 응용화학(도장시스템) 대한 기본지식
          • Painting Inspection 방법 & 지식 역량
          • Painting Failure 원인을 분석하여 재발방지 수립할 수 있는 역량
          • 고객 Requirement 를 이해하고 Issue 사항을 발굴, Solution 을 제시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창원
      • 발전 주기기 사업관리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국내/외 발전소 주기기 공급 PJT 사업관리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복합화력, 열병합, WtE(Waste to Energy) 등 국내외 다양한 발전플랜트에 공급되는 발전 주기기(STG 및 BLR 등)에 대한 공정/예산/계약 관리 등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사업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발전 주기기 사업관리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프로젝트 공정/예산/계약 관리
            • 내부 Interface 업무(설계,구매,생산,설치) 조정/관리
            • 대발주처 협상 및 Risk 사전도출/관리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경영, 경제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Risk를 사전 도출, 관리해 나갈 수 있는 전공 지식 및 기술적 이해
          • 해외 발주처 대응/협상을 위한 영문자료 작성 검토 및 회의 등 영어실무능력
          • 정보 및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의견을 조율하기 위한 논리력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창원
      • 풍력 발전 R&D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신재생 풍력 발전 기술개발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차세대 풍력모델 및 한국형 표준 풍력터빈 개발을 담당하고 있으며, 주요부품(블레이드, 기어박스, 발전기, 컨버터, 전력변환기, 타워, 메인프레임 등)의 설계부터 시험, 통합하중해석 및 인증까지 전반적인 풍력터빈 기술 개발을 연구합니다.
          • 풍력 발전 기계 및 시스템 개발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풍력 발전 블레이드 및 기계구조물 설계/해석
            • 풍력발전기 Layout 및 부품 Interface 설계
          • 풍력 발전 전기/제어 개발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풍력 발전기 내부 주요 전기시스템 개발/설계
            • 각 전장품 Interconnection System 개발/설계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기계, 전기, 전자, 전력, 소재, 금속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기본적인 전공 지식
            • (Ex) 기계 및 시스템 개발 분야: 열역학, 동역학, 유체역학 등
              전기/제어 개발 분야: 회로이론, 전자기학, 전력공학, 신호/시스템, 전기기기 등
          • 계산서 및 설계 도서 작성을 위한 Drawing 역량 (2D/3D CAD 등)
          • 해외 발주처 및 협력 업체와 기술적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영어 활용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      • 가스터빈 R&D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차세대 가스터빈 기술개발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가스터빈의 핵심 Part인 고온부품과 연소기의 개발/생산, 시험 평가 업무를 담당하며, 가스터빈 개발 및 설계와 관련된 다양한 전공의 엔지니어와의 협업을 통해 차세대 가스터빈, 수소터빈, 항공용 엔진 기술 개발을 연구합니다.
          • GT 터빈 기계설계 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Mechnical Design 및 엔진해석 등 개발업무
              • GT엔진 Layout 및 부품 Interface 설계
              • 3D Modeling / 도면 작성
              • 생산/제작 일정 및 요소기술 개발과제 관리
          • GT 이차유로 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GT 엔진 전반에 대한 내부유로 설계 및 온도해석
            • 축하중 설계 및 Dynamic/Static Seal 시험 Rig 구축/시험
          • GT 연소기 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수소터빈 개발 위한 연소기 구조/수명 평가 및 장기운전 신뢰성 검증
            • 해외 고압연소 시험 위한 ASME 및 PED 인증 설계 및 구조 강도 평가
            • 고온부품 재생정비 기술 개발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(석사 이상) 기계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기본적인 전공 지식
            • (Ex) 기계설계 개발 분야: 열역학, 동역학, 유체역학 등
              이차유로 개발 분야: 열역학, 동역학, 유체역학 / 열유체 분야 CFD 관련 역량 / 열전달 냉각 설계 역량
              연소기 개발 분야: 열역학, 동역학, 유체역학 / 구조강도 해석 및 수명평가 관련 역량
          • 계산서 및 설계 도서 작성을 위한 Drawing 역량 (2D/3D CAD 등)
          • 해외 발주처 및 협력 업체와 기술적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영어 활용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/창원
      • 열전달/유체 R&D

        아이콘
          • 내용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콤팩트 열교환기(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) 기술 개발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열전달/유체 연구 및 주단조품 분야 등과 관련된 제품에 대한 설계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열전달/유체 연구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수소충전소用 인쇄회로 기판형 열교환기(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, PCHE) 설계
            • 주단조 분야 제품 및 해양복합품에 대한 상세 설계
            • 주단조 공장 설비 및 치공구 설계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(석사 이상) 기계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열전달 관련 전문지식 (열전달 해석/실험)
          • 유체 관련 전문 지식 (전산 유체 역학 관련 해석/실험)
          • Auto CAD 및 3D 모델링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창원
      • 무탄소 연소기술 R&D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차세대 무탄소(수소/암모니아) 연소 기술 개발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탄소중립 기조에 따른 발전 플랜트의 연료 전환에 대비하기 위해 무탄소 연소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무탄소 연소 연구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암모니아 전소/혼소 버너 개발(설계, CFD해석/모델개발, 성능 시험)
            • 수소/암모니아 혼소/전소 가스터빈 연료노즐 개발(CFD해석, 성능 시험)
            • 차세대 무탄소 연소기술 개발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(석사 이상) 기계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무탄소 연소 버너 또는 노즐 설계 및 제작 등 개발 경험 보유
          • 무탄소 연소 CFD 해석 경험 및 상용 S/W(Ex. ANSYS 등) 사용 경험 보유
          • 무탄소 연소 버너 또는 노즐 성능시험 경험 보유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      • 제어시스템 R&D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원자력 및 복합 발전 제어시스템 개발 및 구성 HW/SW 설계
          • 대용량 전력변환시스템 및 제어프로그램 개발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발전 플랜트의 주요 기기들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전하기 위한 제어시스템 개발을 담당합니다. 대형 발전 플랜트의 발전기를 모터로 운전하기 위한 대용량 전력변환설비 개발을 담당합니다.
          • 제어시스템 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통신 프로토콜 설계 및 프로그래밍
            • 입출력 제어용 펌웨어 프로그래밍
            • 제어시스템 환경설정 프로그램 개발
            • 실시간 제어 모듈 펌웨어 개발
          • 전력변환시스템 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대용량 인버터 회로 설계 및 제어프로그램 개발
            • 대용량 정류기 회로 설계 및 제어프로그램 개발
            • 전력변환설비 보호회로 설계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(석사 이상) 전기, 전자, 전력, 컴퓨터, 전산, 소프트웨어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제어시스템 개발 분야
            • 마이크로프로세서 임베디드 시스템 이해
            • C/C++, Visual Studio/MFC를 사용한 프로그램 개발 역량
            • TCP/IP 등 네트워크 통신 프로그램 개발 역량 - 임베디드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
          • 전력변환시스템 개발 분야
            • 전력전자 전공 지식
            • 전력변환회로 설계 경험
            • 전력변환 제어프로그래밍 경험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      • 디지털 플랜트 R&D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VPP* 및 신재생(수전해플랜트/가스터빈/ESS) 전력계통 개발 *VPP : 정보통신과 AI 기술을 이용해 여러 분산 에너지 자원을 연결, 제어하여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기술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신재생에너지 비율이 높아지는 미래전력계통의 안정화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VPP(통합발전소)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VPP 및 전력계통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제주 지역 VPP 시범사업 참여, 전력시장 입찰 전략 개발
            • 신재생에너지(풍력 등) 발전량 예측 알고리즘 개발
            • 수전해플랜트, ESS/가스터빈 등의 전기계통 설계/개발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(석사 이상) 전기, 전자, 전력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전력계통 안정도 해석 경험
          • 전력전자 컨버터/인버터 제어의 기초 지식
          • 일반 전기도면 해석 및 설계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      • 폐자원 에너지 R&D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리튬 회수 에너지화 기술 개발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폐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리튬 등 유가금속 회수 기술 및 상용화를 위한 공정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리튬회수 연구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폐배터리 원료 특성 분석 및 리튬 회수 반응 최적화 연구 개발
            • 폐배터리 원료 다변화를 위한 리튬 회수 기술 개발 - 차세대 배터리, 사용후 배터리 등
            • 폐배터리 리튬 회수 공정설계 및 운전 최적화 기술개발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(석사 이상) 화공, 소재, 금속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배터리 등 무기소재의 물리/화학적 특성 분석 및 해석 능력
          • 리튬 추출 및 분리/정제 기술 분야 연구 경험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      • AM 공정 R&D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적층 제조(AM*) 공정 Parameter 개발 * AM : Additive Manufacturing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적층제조기술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소재 별 적층제조 공정 Parameter를 개발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. 적층제조 공정 Parameter는 발전용 가스터빈 부품, 우주/항공, 방산 부품 제작할 수 있는 핵심공정기술입니다.
          • 적층제조 공정 Parameter 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발전용 가스터빈 및 항공엔진용 니켈합금 적층제조 공정 Parameter 개발
            • 타이타늄 합금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적층제조 공정 Parameter 개발
            • 적층제조 공정 중 결함발생 Zero화를 위한 신규 적층제조 공정 Parameter 개발
            • 적층제조 특화설계 기술 개발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(석사 이상) 소재, 금속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야금학적 분석 및 기계적 물성평가 경험 보유
          • 적층제조 부품에 대한 계측 및 평가 역량
          • 금속 적층제조 설비 운용 및 공정 Parameter 개발 경험 보유자 우대
          • 3D 설계 Tool 활용 역량 및 적층제조 전처리 S/W 활용 경험 보유자 우대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창원
      • IT 기획/관리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IT 기획 및 Governance 관리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회사 IT 기준을 수립하고, Flexible IT 환경을 구축하여 공유/소통/협업으로 일하는 방식과 문화를 혁신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IT 기획/관리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IT/Digital 관련 기획/전략 수립
            • 신기술 도입
            • IT Governance 및 투자관리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컴퓨터, 전산, 소프트웨어, 산공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Data를 효과적으로 분석/전달 할 수 있는 분석력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
          • IT/Digital 신기술 및 정보를 파악하고 새로운 곳에 적용하는 응용력/창의력
          • 소프트웨어공학, 데이터베이스, 네트워크, 보안 등 IT 관련 전반적인 기술의 이해력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      • 디지털 솔루션 개발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가스터빈 모니터링 솔루션 개발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복합발전 플랜트의 주기기인 가스터빈(Gas Turbine)이 효율적으로 운전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솔루션을 개발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. 해당 솔루션을 이용하여 가스터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성능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.
          • 디지털 솔루션 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솔루션 Architecture 설계
            • 솔루션 개발 및 운영
            • 발전소 현장 서버 구성 및 데이터 연계
            • 솔루션 배포/테스트 및 안정화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컴퓨터, 전산, 소프트웨어, 산공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웹(Web) 시스템 이해 : 응용 프로그램 구현기술(Frontend, Backend), 인프라(Web/WAS/DB), 네트워크 프로토콜(Http)
          • Java, Python, C# 중 1개 언어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역량
          • 데이터베이스 구조 이해 및 SQL 을 통한 쿼리 작성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      • 알고리즘 개발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인공지능 알고리즘 설계/개발 및 데이터 모델링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발전 및 제조 분야 디지털 솔루션에 탑재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예측진단, 최적화 알고리즘을 설계/개발하고 있습니다.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모델링 및 학습을 통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합니다.
          • 알고리즘 개발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인공지능 알고리즘 설계
            •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및 튜닝
            • 데이터 모델링
            • 데이터 엔지니어링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(석사 이상) 컴퓨터, 전산, 소프트웨어, 산공, 기계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데이터 분석 및 AI 알고리즘 설계 역량
          • Python, MATLAB, 딥러닝 프레임워크(PyTorch, TensorFlow)를 이용한 알고리즘 개발 역량
          • AI 관련 논문 이해 및 적용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      • 데이터분석 기반 AI 모델 개발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발전 주기기 AI 모델 개발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발전 플랜트의 핵심 기기인 가스터빈, 풍력터빈, 소형모듈원자로 등의 제품 및 생산에 접목될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• 데이터분석 기반 AI 모델 개발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베이지안 인과 추론 기반 응용통계 기술 개발 - 가스터빈/풍력터빈 상태 예측/진단 기술 개발
            • 샘플링 기반 추론 모델 고도화 - 상태 진단 성능 지표 개발 및 적용
            • 빅데이터 분석 기반 예측 모형 개발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(석사 이상) 통계, 응용통계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통계적 추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
          • 베이지안 추론에 대한 전문 지식
          • 지식 및 개발 AI 모형의 설명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      • 재무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회계 결산, 자금 조달 및 운용, 국내/외 보증 관리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회사의 회계를 결산하고,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자금 운용, 국내/외 보증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.
          • 회계, 자금, 보증 분야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월별 회계 결산, 회계감사 보고서 작성 및 감사 대응, 현업 회계 처리 자문 및 이슈 검토
            • 자금수지(Cashflow) 계획을 바탕으로 한 자금 기획
            • 자금 운용 및 조달, 해외사업장 자금 관리
            • 국내/외 보증 발행, 보증한도 확보 및 관리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경영, 경제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정합성 있는 회계처리를 위한 IFRS 기반 회계 등 기본지식
          • 숫자Data 를 정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Excel 프로그램 등의 활용역량
          • 회사 장부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가공할 수 있는 기획력 및 분석력
          • 외부 금융기관 및 회사내부 담당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      • HR

        아이콘
        • 수행업무

          • 인사 및 노무관리 (평가, 보상, 채용, 교육 등)
        • 직무상세

          • 회사의 Vision 및 사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핵심역량을 강화, 개발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.ㆍ
          • 인사 관리 및 교육 분야의 주요 업무
            • 임직원 인사 평가/보상 제도 운영
            • 채용 기획 및 리크루팅, 채용 브랜딩
            • 직원들의 리더십/직무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
        • 대표전공

          • 경영, 경제
        • 필요지식/
          요구역량

          • Data/통계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사용 능력
          • Data 를 분석하고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분석력 및 기획력
          • 정보 및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/설득할 수 있는 논리력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
        • 근무지

          • 분당

* 시공/시운전/플랜트 품질관리 직무는 분당에서 인턴십을 수행하며, 최종 입사 후 국내/외 현장으로 배치됩니다.

두산에너빌리티 채용 캘린더
  • Mon
  • Tue
  • Wed
  • Thu
  • Fri
  • 5/20
    지원서 접수 시작
  • 21
    • 부산대 상담회
    • 이화여대 상담회
  • 22
    • 서울대 상담회
  • 23
    • UNIST 상담회
  • 24
  • 27
    • 연세대 상담회
  • 28
    • 게더타운
      메타버스설명회
      kakao
    • 성균관대(수원) 상담회
  • 29
    • KAIST 상담회
    • 한양대 상담회
    • 경북대 상담회
    • 숙명여대 상담회
  • 30
    • 오픈카톡
      상담회
      kakao
    • POSTECH 상담회
    • DGIST 상담회
  • 31
  • 6/3
  • 4
    • 오픈카톡
      상담회
      kakao
    • 게더타운
      메타버스설명회
      kakao
    • 고려대 상담회
    • 중앙대 상담회
  • 5
  • 6
  • 7
- 메타버스 채용설명회 및 오프라인 채용행사에 참석하신 분들에게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. - 오프라인 캠퍼스리크루팅은 사전 신청없이 타 대학학생들도 참여 가능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.
두산에너빌리티 신입 TALK
이미지

🎉대환영🎉 두산에너빌리티
신입사원 입문교육 현장

이미지

두산에너빌리티
입사 1년차 이야기 🐣

이미지

두산에너빌리티 신입사원이
알려주는 인턴십 채용 A to Z

이미지

[직장인 밸런스 게임]
두산에너빌리티 신입사원들에게
물어봤습니다

두산에너빌리티 직무 TALK
이미지

두산에너빌리티 실무자 직무토크
Ep.01 생산 편_이혜리 수석

이미지

두산에너빌리티 실무자 직무토크
Ep.02 연구개발 편_최인찬 수석

이미지

두산에너빌리티 실무자 직무토크
Ep.03 설계 편_이동화 수석

두산에너빌리티채용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!